2025. 7. 8. 07:30ㆍ시사분석 르포
2025년 7월 8일 시장 분석 및 투자 전략: 관세 협상과 삼성전자 실적이 교차하는 변곡점
섹션 1: 시장 요약 및 핵심 전략
1.1 모닝 콜: 외줄 타기 장세의 시작
국내 증시는 7월 8일,
극도의 경계감 속에서 거래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일(7월 7일) 시장은
개인 투자자의 저가 매수세에 힘입어
소폭 반등했으나, 기관 투자자들은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며 매도 우위를 보였다.
이는 시장의 상승 동력이
견고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오늘 시장은
방향성이 상이한 두 개의
거대한 변수에 의해 좌우될 것이다.
첫째는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협상의 최종 시한이며,
둘째는
장 시작 전 발표될 삼성전자의 2분기 잠정 실적이다.
이는 각각 거시 경제의 강력한 악재와
국내 산업의 미시적 잠재 촉매제로 작용하며
시장의 변동성을 극대화할 전망이다.
수출 중심 산업에 대한 부담과
반도체 섹터에 대한 기대감이 충돌하며,
투자자들은 하루 종일
팽팽한 긴장감 속에서
대응해야 할 것이다.
1.2 오늘의 핵심 촉매제 및 전략적 고려사항
- 촉매제 1:
미국 상호관세 협상 시한 (7월 8일/9일):
미국이 설정한 90일간의 상호관세 유예 기간이
오늘로 만료되며, 협상 타결 실패 시 9일부터
새로운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
한국은 25%의 관세율을 제안받은 상태로,
이는 국내총생산(GDP) 성장에
상당한 위협이 될 수 있다.
시장은 막판 협상 타결 또는
유예 연장 소식에
극도로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다. - 촉매제 2:
삼성전자 2분기 잠정 실적 (장전 발표):
7월 8일 발표 예정인 삼성전자의 실적은
국내 기술주 전체의
투자 심리를 결정할 핵심 변수다.
최근 고대역폭메모리(HBM) 사업
부진에 대한 우려로
시장의 실적 눈높이가 낮아진 상황이라,
예상치를 소폭이라도 상회할 경우
긍정적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다.
실적 발표 후 진행될 컨퍼런스콜에서
HBM4 진행 상황 등
미래 전략에 대한 언급은
숫자 자체만큼이나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다. - 전략적 전망:
일차적으로는 방어적 투자 자세를 유지하며
이벤트에 따른 변동성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국의 관세 영향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내수 중심 테마나
비미국향 수출주에 대한 관심이 유효하다.
단기 트레이더에게는
관세 관련 뉴스플로우와
삼성전자 실적 반응의 충돌이
기회가 될 수 있으나,
리스크 관리가 최우선이다.
장기 투자자는 이번 변동성을 활용해 우량주를 저가에 매수할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
전일 시장에서 나타난
개인과 기관의 뚜렷한 시각차는
현재 시장의 취약성을 드러낸다.
7월 7일, 개인 투자자들은
코스피와 코스닥 양대 시장에서
1조 5천억 원 이상을 순매수하며
지수 반등을 이끌었으나,
외국인과 기관은 합산 1조 7천억 원 이상을
순매도하며 리스크 관리에 나섰다.
이러한 수급 불일치는
미국 관세라는
거대한 불확실성을 앞두고
나타났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기관 투자자들은
엄격한 리스크 관리 원칙에 따라
알려진 악재 앞에서 기계적으로
위험 자산 비중을 줄이는 경향이 있다.
반면, 개인 투자자들은 최근의 주가 하락을
저가 매수의 기회로 인식하거나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형성된 긍정적 여론에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로 인해 거시 경제 리스크의 무게를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현재 시장의 반등은
견고한 기관의 지지 없이
개인의 매수세에 의해
위태롭게 유지되고 있는 형국이다.
만약 관세 협상이
부정적인 결과로 이어진다면,
시장을 지지하던
개인의 매수 심리가 급격히 위축되면서
기관의 부재 속에서
급격한 가격 조정을 겪을 수 있다.
이는 상승 전환을 기대하며 진입한
투자자들이 손실을 보는
전형적인 '불 트랩(Bull Trap)'의 전조일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섹션 2: 글로벌 시장 동향 및 거시 경제 리스크
2.1 간밤 글로벌 시장 리뷰 (7월 7일)
- 미국 시장: 독립기념일 연휴로 휴장했다.
미국 증시의 부재는
아시아와 유럽 시장의 투자 심리
및 관세 협상 결과에 대한
민감도를 더욱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 유럽 시장:
유로스톡스 50 지수가 1.02% 하락하는 등
주요 증시는 약세를 보였다.
임박한 미국 관세 시한이
유럽의 자동차 등 핵심 수출 산업에
미칠 타격에 대한 우려가
시장을 지배했다. - 거시 경제 요인:
- OPEC+는
여름철 강한 수요를 활용하기 위해
예상보다 빠르게 원유 생산량을
늘릴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유가 상승을 제한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 빌르루아 유럽중앙은행(ECB) 정책위원은
유로화의 가파른 상승이
인플레이션을 목표치인 2% 아래로
끌어내릴 위험이 있다고 경고하며,
향후 유로존의
완화적 통화정책 가능성을 시사했다.
2.2 관세라는 외줄: 미국의 상호관세 위협 분석
- 정책 개요: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정책은
국제긴급경제권한법(IEEPA)에 근거하며,
모든 수입품에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미국에 무역 적자를 안기는 국가에는
더 높은 세율을 적용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 한국의 상황:
한국은 25%의 관세율을 제안받았으며,
7월 8일로 만료되는
90일의 유예 기간 동안 협상을 진행해왔다. - 연장 가능성:
협상 연장은 가능하지만 조건부다.
백악관 관계자는
"양보에 진전이 있는" 국가에 한해
9월 노동절까지
시한을 연장해 줄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막판 협상 결과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 경제적 영향 분석:
- 씨티(Citi) 그룹은
자동차, 반도체 등
한국의 핵심 수출 품목에
25% 관세가 부과될 경우,
한국의 실질 GDP 성장률이
0.203% 감소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 역시
미국의 통상정책을
한국 경제의 주요 하방 위험으로 지목했다. -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25%의 자동차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이
18.59%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S&P 글로벌 모빌리티는
향후 2년간 한국의 승용차 생산량이
총 31만 5천 대 줄어들 수 있다고 예측했다.
미국 행정부는 7월 8일이라는
마감 시한을 단순한 최종일이 아닌,
협상력을 극대화하고
상대국의 양보를 끌어내기 위한
전략적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협조적인" 국가에 대해서는
시한을 연장해 줄 수 있다는
공개적인 발언은
각 교역국을
일종의 '죄수의 딜레마' 상황으로 몰아넣는다.
이는 관세라는 단일한 리스크를
국가별로 차등화된 압박으로
전환시키는 효과를 낳는다.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명확하다.
이 전략은 불확실성의 기간을 연장시킨다.
투자자들은 '관세 부과' 또는 '부과 안 함'이라는
이분법적 결과 대신,
앞으로 몇 주 또는 몇 달에 걸쳐
국가별로 흘러나오는 협상 뉴스를
소화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이러한 지속적인 불확실성은
자동차, 부품 등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섹터의
밸류에이션을 억누르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투자자들이 더 높은
위험 프리미엄을
요구하게 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시장은
워싱턴에서 전해지는 헤드라인에 따라
'위험 선호(risk-on)'와 '위험 회피(risk-off)'를
반복하는 변동성 장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
표 2.1: 글로벌 시장 및 환율 현황 (7월 7일 마감 기준)
지수명 | 국가 | 마감 지수 | 전일 대비 (%) | 주요 통화 | 통화 변동 | |
KOSPI | 한국 | 3,059.47 | +0.17% | 원/달러 | 1,367.8원 (+5.5원) | |
KOSDAQ | 한국 | 778.46 | +0.34% | - | - | |
Euro Stoxx 50 | 유럽 | 5,288.81 | -1.02% | 유로/달러 | - | |
Nikkei 225 | 일본 | 39,810.88 | +0.06% | 엔/달러 | - | |
상해종합지수 | 중국 | 3,472.32 | +0.32% | 위안/달러 | - | |
주: 미국 시장 휴장으로 달러 인덱스 및 유로, 엔화 변동폭은 제한적. 데이터 출처: 1 |
섹션 3: 국내 시장 심층 분석 (7월 7일 리뷰)
3.1 코스피 & 코스닥 성과 분석
- 코스피:
전일 대비 5.19포인트(0.17%) 상승한
3,059.47에 마감했다. 지수는 하락 출발했으나,
낙폭 과대에 따른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반등에 성공했다.
다만 장중 고점을 유지하지는 못하며
경계 심리를 드러냈다. - 코스닥:
전일 대비 2.66포인트(0.34%) 상승한
778.46으로 장을 마쳤다.
코스피와 마찬가지로
하락 출발 후 회복했으며,
외국인의 매수세가
지수 상승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거래 동향: 거래는 활발했으며,
특히 코스닥 시장으로의 외국인 자금 유입이 두드러졌다.
3.2 투자자별 수급 분석: 극명한 시각차
- 코스피:
개인이 1,526억 원을 순매수하며
유일한 매수 주체로 나섰고,
외국인(-891억 원)과 기관(-835억 원)은
동반 순매도했다. - 코스닥:
외국인이 1,359억 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반면 개인(-558억 원)과 기관(-723억 원)은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장에서 나타난
외국인의 강한 순매수는
시장 전반에 대한 긍정적 베팅이라기보다는
특정 성장주에 대한
선별적 접근의 결과로 해석된다.
대표적으로
코스닥 시가총액 1위인 알테오젠에
외국인 매수세가 집중된 것이
이를 방증한다.
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관세와 같은 거시 경제 리스크에 노출된
경기민감주 중심의 코스피 시장에서는
위험을 회피하는 동시에,
독자적인 성장 스토리를 가진
코스닥의 특정 종목에는 자금을 집중하는
이중적 전략을
구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코스피 시장에서 나타난
개인의 대규모 순매수는
특정 섹터에 집중되기보다는
지수 하락에 따른
전반적인 저가 매수 성격이 강해,
기관의 전략적 베팅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3.3 섹터별 흐름: 두 개의 경제
- 상승 주도주:
음식료, 기계, 보험 업종이 강세를 보였으며,
현대바이오, 에이피알(APR) 등 화장품 관련주는
2분기 실적 호조 기대감에 급등했다.
대형주 중에서는
두산에너빌리티(+4.83%)와
신한지주(+4.76%)의 상승이 돋보였다. - 하락 주도주:
통신, 전기전자 업종은 부진했다.
특히 LG전자는 2분기 잠정 영업이익이
시장 컨센서스를 크게 하회하는 '어닝 쇼크'를
기록하며 3.89% 급락했다.
삼성전자(-2.53%), 현대차(-0.95%) 등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의 동반 하락도
코스피 지수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표 3.1: 코스피 & 코스닥 시장 요약 (2025년 7월 7일)
구분 | 코스피 | 코스닥 | |
마감 지수 | 3,059.47 | 778.46 | |
변동 (포인트) | +5.19 | +2.66 | |
변동 (%) | +0.17% | +0.34% | |
거래대금 (억원) | 101,133 | - | |
고가 | 3,068.43 | - | |
저가 | 3,030대 | 770선 | |
데이터 출처: 1 |
표 3.2: 투자자별 순매매 동향 (2025년 7월 7일, 단위: 억원)
구분 | 코스피 | 코스닥 | 합계 | |
외국인 | -891 | +1,359 | +468 | |
기관 | -835 | -723 | -1,558 | |
개인 | +1,526 | -558 | +968 | |
데이터 출처: 1 |
섹션 4: 테마 및 섹터별 정보 분석
4.1 반도체 슈퍼사이클: HBM4 경쟁과 AI 가속기 붐
- HBM4 전쟁터: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
- SK하이닉스:
세계 최초로 HBM4 샘플을 공급하고
2026년 양산을 목표로 하는 등
현재 시장의 선두주자로 평가받는다. - 삼성전자:
자사의 파운드리 경쟁력을 활용,
브로드컴 등 주요 고객사를 위한
맞춤형 HBM4를 개발하며
반격에 나섰다.
2분기 실적 발표에서
HBM 사업 전략은 최대 관심사다. - 마이크론: 2026년 양산을 목표로
주요 고객사 확보에 나서며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했다.
- AI 공급망 심층 분석 - 이수페타시스 (007660):
- 시장 지위:
AI 가속기의 핵심 부품인
고다층 인쇄회로기판(MLB) 분야에서
글로벌 3위권의 생산 능력을
갖춘 핵심 수혜주다.
주요 경쟁사는
미국의 TTM, 중국의 셴난(Shennan) 등이다. - 수요와 공급:
구글,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등
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수요가
생산 능력을 초과하는
'쇼티지(공급 부족)'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이는 강력한 가격 결정력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공급자 우위 시장은
2025년 하반기까지 지속될 전망이다. - 재무 및 리스크:
증권가에서는 평균판매단가(ASP) 상승과
수익성 개선을 이유로 긍정적 전망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최근 단행한 대규모 유상증자는
투자자들의 우려를 낳으며 주가 변동성을 키우는 요인이 되고 있다.
- AI 공급망 심층 분석 - 가온칩스 (399720):
- 역할:
팹리스(설계)와 파운드리(생산)를 잇는
디자인 솔루션 파트너(DSP)로서,
파운드리 시장 성장과
팹리스 고객사 증가의 수혜를
동시에 누리는 독특한 위치에 있다. - 전망:
국내 디자인하우스 업계의 '대장주'로 평가받으며,
개발 단계에 있던 프로젝트들이
양산으로 본격 전환되는
2025년부터 실적의 '퀀텀 점프'가 기대된다.
4.2 바이오 기술 전쟁터: 알테오젠의 고위험 게임
- 특허 전쟁:
알테오젠은 자사의 핵심 플랫폼 기술인
정맥주사(IV)를 피하주사(SC) 제형으로 바꾸는
'ALT-B4' 기술을 두고 유일한 경쟁사인
미국 할로자임과 명운을 건 특허 분쟁을 벌이고 있다.
- 알테오젠의 입장:
박순재 대표를 비롯한 경영진은
소송 리스크를 일축하며
승리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표명하고 있다. - 시장 반응:
최근 미국 특허심판원(PTAB)이
특허무효심판(IPR) 절차 개시를 결정하자,
시장은 이를 할로자임 특허의 유효성에
흠결이 있을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하며
불확실성이 해소되었다고 평가하는 분위기다. - 잔존 리스크:
소송에서 승리하더라도,
분쟁 과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비용과 제품 출시 지연 가능성은
여전히 무시할 수 없는 리스크 요인이다.
- 밸류에이션 논쟁:
알테오젠의 주가 수준은
시장의 가장 뜨거운 논쟁거리다.
- 강세론:
글로벌 제약사 머크(MSD)의
블록버스터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의 SC 제형화에 따른
막대한 로열티 수입 기대를 기반으로 한다.
일부 증권사는 2025~2026년부터
폭발적인 이익 성장을 예상하며
73만 원과 같은 높은 목표주가를
제시하고 있다.
이 기술은 블록버스터 의약품의
특허 만료를 앞두고 제품 수명을 연장하는
핵심 전략으로 가치가 매우 높게 평가된다. - 약세론:
현재 영업이익이 적자인 재무 상태를 고려할 때
주가가 고평가되었다는 시각이다.
현재의 높은 주가는
아직 현실화되지 않은 미래의 기대감이
과도하게 선반영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 코스피 이전이라는 승부수:
2대 주주가 강력하게 추진하는
코스피 이전 상장은 회사의 가치를
재평가받기 위한 중대한 전략적 결정이다.
알테오젠의 코스피 이전 추진은
현재의 '가치평가 모호성'을
해결하기 위한 정면 돌파 전략이다.
코스닥 시장 내에 비교할 만한
유사 기업이 없어 주관적 평가에 따라
주가가 급등락하는 문제를,
코스피라는 더 큰 시장으로 이동함으로써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연기금, 인덱스 펀드 등
새로운 투자자 풀을 확보하고,
대형 제약사들과의 직접적인 비교를 통해
기업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받는 기회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양날의 검이다.
만약 시장이 알테오젠의 장기 성장 스토리를 받아들인다면,
주가는 코스닥의 한계를 넘어 재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안정적인 이익과 현금흐름을 중시하는
코스피의 전통적인 투자자들은
현재 적자 상태인 알테오젠에 대해
냉정한 잣대를 들이댈 것이다.
약속된 로열티 수익 발생이 지연될 경우,
높은 밸류에이션은 오히려 부메랑이 되어
가치주 중심 펀드들의 매도 압력을 유발할 수 있다.
결국 코스피 이전은
'성장 스토리'만으로 평가받던 단계에서
'실적'으로 증명해야 하는 단계로의
전환을 앞당기는 시험대가 될 것이다.
4.3 에너지 전환: 두산에너빌리티의 원전 및 SMR 전략
- 성장 동력:
두산에너빌리티는
전 세계적인 원자력 발전 회귀 움직임의
최대 수혜주로 부상하고 있다.
-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정부가 신규 대형 원전과
소형모듈원자로(SMR) 건설을 확정하면서
안정적인 국내 수주 물량을 확보했다. - 글로벌 수주:
체코, 폴란드 등
동유럽에서의 추가 수주 가능성과
웨스팅하우스 등 미국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해외 사업 확대가 기대된다.
회사는 원자력 부문에서만
20조 원 이상의 다년간
수주 잔고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 SMR 프론티어:
미국 뉴스케일파워(NuScale Power)에 대한
전략적 지분 투자와 파트너십을 통해
차세대 원전으로 꼽히는
SMR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 상용화 로드맵:
뉴스케일의 SMR 모델은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로부터
세계 최초로 표준설계인증을 획득하며
2029~2030년 상용화를 향한
가장 중요한 관문을 통과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이미 핵심 기자재와 소재 제작에 착수한 상태다.
- 재무적 불일치:
두산에너빌리티를 둘러싼
강력한 성장 스토리와
실제 재무 상태 사이에는
명백한 괴리가 존재한다.
시장은 원전 르네상스, SMR 선두주자라는
긍정적 내러티브에 열광하며
주가를 끌어올리고 있지만,
재무제표의 이면에는
위험 신호가 감지된다.
지난해 총차입금은 전년 대비 73% 급증했으며,
운전자본 부담 역시 25% 이상 늘어났다.
이는 영업활동을 통한
현금 창출 능력이 급감하면서
단기차입금과 회사채 발행 등
외부 자금 조달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즉, 회사는 미래의 성장을 담보로
현재의 유동성 압박을 견디고 있는 구조다.
대규모 장기 프로젝트 수주는
필연적으로 막대한 초기 투자 비용을 동반하며
수년간 자본을 묶어두게 된다.
만약 프로젝트 진행이 지연되거나,
금리 상승으로 금융 비용 부담이 가중될 경우,
회사는 인상적인 수주 잔고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인 유동성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
현재 시장은 장기적인 보상에 대한
기대감을 주가에 충분히 반영하면서도,
단기 및 중기적인 재무 리스크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4.4 플랫폼 권력 이동: 네이버의 스테이블코인과 M&A
- 스테이블코인 이니셔티브:
네이버는 디지털 자산 시장으로의
대대적인 전략적 확장을 준비하고 있다.
- 전략:
네이버페이는 3,000만 명 이상의 사용자,
방대한 가맹점 네트워크,
기존 디지털 지갑 인프라를 활용해
향후 제도화될 원화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지배적 사업자가 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NKRW', 'KRWZ' 등
다수의 관련 상표권을 이미 출원했다. - 시장 영향:
이러한 잠재력은 증권가의
목표주가 상향을 이끌었다.
일부 증권사는 글로벌 핀테크 기업들의
가치평가 배수를 적용해
네이버페이의 가치를
기존의 두 배에 가까운
8조 3천억 원으로 재평가했다.
생태계 구축을 위해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와도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 리스크:
규제 환경은 여전히 불확실하다.
한국은행과 시중은행들은
은행 주도의 스테이블코인 모델을
선호할 수 있어 경쟁이 불가피하다.
또한, 스테이블코인은 기존의 결제 및
송금 사업자들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될 수 있어
강력한 견제에 직면할 수 있다.
- M&A 및 투자 전략:
네이버는 생태계 강화를 위해
적극적인 M&A를 활용하고 있다.
- 최근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을 인수하여
네이버페이의 부동산 정보 서비스를 고도화했다. - 동시에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네이버 벤처스'를 통해
글로벌 기술 스타트업에 투자하며
최첨단 AI 기술과 인재를 확보하고 있다.
이는 외부 기술을 신속하게 확보하여
자사의 핵심 플랫폼 서비스에 통합,
강화하는 전략의 일환이다.
4.5 격랑 속 항해: HMM과 해운 시장의 변동성
- 상반된 운임 지표:
HMM의 수익성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헤드라인을 넘어선 분석이 필요하다.
- SCFI (상하이 컨테이너 운임지수):
이는 단기(Spot) 운임을 반영하는 지수다.
최근 미·중 관세 갈등에 따른
선제적 물량 밀어내기(front-loading)로 인해
급등하는 등 변동성이 매우 크다.
그러나 장기적인 실적을
예측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 CCFI (중국 컨테이너 운임지수):
이 지수는 장기 계약 운임을 기반으로 산출되어,
HMM의 실제 수익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된다.
투자자들은 보다 안정적인 수익성 판단을 위해 CCFI의 추이를 주시해야 한다.
- 역풍 요인:
- 정치적 리스크:
신정부가 HMM 본사를
부산으로 이전하겠다는 공약을 유지하고 있어,
기업 지배구조의 불확실성과
내부 혼란 가능성이 잠재적 리스크로 남아있다. - 장기 환경 규제:
국제해사기구(IMO)의 2030년, 2050년
탄소 배출 규제 강화는
HMM에게 막대한 자본적 지출을 요구한다.
메탄올 추진선 등 친환경 선박으로의 전환을 위해
수조 원대의 투자가 필요하며,
이는 장기적인 수익성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다.
섹션 5: 주요 종목 분석 및 전망
5.1 삼성전자 (005930)
- 투자 논리:
2분기 실적 발표가 잠재적 변곡점.
시장의 낮은 기대치를 충족시키기는 어렵지 않으나,
관건은 HBM4 및 파운드리 회복에 대한 미래 전망이다. - 펀더멘털 리뷰:
시장 컨센서스는 2분기 영업이익 6조 원대 초중반으로,
HBM 사업 부진으로 하향 조정된 상태다.
사업부별로는
반도체(DS) 부문의 실적 둔화가 예상되나,
모바일(MX)과 디스플레이(DP)는
비교적 선방할 것으로 보인다.
HBM 시장에서의 경쟁사 대비
뒤처진 점이 가장 큰 부담이다. - 기술적 분석:
실적 발표를 앞두고
주가는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 애널리스트 컨센서스:
증권사들은 HBM 사업 부진을 이유로
2분기 실적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고 있다. - 리스크:
관세 부과 현실화,
HBM 시장 점유율 회복 지연,
파운드리 사업 턴어라운드 지연.
5.2 SK하이닉스 (000660)
- 투자 논리:
HBM 시장의 지배력 지속에 대한
순수한 베팅. 삼성전자, 마이크론과의
HBM4 경쟁에서 현재의 우위를
유지할 수 있는지가 핵심이다. - 펀더멘털 리뷰:
HBM 기술력에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다만 2025년 이후
HBM 시장의 공급 과잉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 기술적 분석:
시장 대비 견조한 주가 흐름을 보이고 있다. - 애널리스트 컨센서스:
HBM 시장 지배력에 대한 기대로
높은 목표주가가 형성되어 있다. - 리스크:
경쟁사의 추격에 따른 시장 점유율 하락,
HBM 공급 과잉, 메모리 산업의 주기적 침체.
5.3 NAVER (035420)
- 투자 논리:
플랫폼 거인이 핀테크와 AI 강자로 진화 중.
특히 스테이블코인 사업은
아직 시장이 충분히 평가하지 않은
강력한 성장 동력이다. - 펀더멘털 리뷰:
스테이블코인 사업 전략,
부동산 플랫폼 '아실' 인수 등
M&A를 통한 생태계 확장, 커머스와 핀테크 등
핵심 사업의 견조한 성장이 긍정적이다. - 기술적 분석:
최근 주가가 장기 이동평균선을 돌파하는 등
긍정적인 기술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 애널리스트 컨센서스:
네이버페이 가치 재평가를 근거로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는
리포트가 다수 발표되었다. - 리스크:
스테이블코인 관련 규제 불확실성,
전 사업 영역에서의 경쟁 심화,
광고 시장 성장 둔화 가능성.
5.4 알테오젠 (196170)
- 투자 논리:
글로벌 제약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한
ALT-B4 플랫폼의 상업화 성공에 베팅하는
고위험·고수익 투자.
코스피 이전은 주가 재평가의 핵심 촉매제다. - 펀더멘털 리뷰:
할로자임과의 특허 분쟁,
키트루다 SC 로열티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
그리고 적자 상태의 재무구조와
미래 기대감 사이의
극심한 밸류에이션 논쟁이 핵심이다. - 기술적 분석:
최근 호재성 뉴스에 힘입어 급등했으며,
AI 기반 분석에서는
추가 상승 가능성을 제시하면서도
주요 저항선에 대한 경고를 보내고 있다. - 애널리스트 컨센서스:
높은 불확실성을 반영하듯
증권사별 목표주가 편차가 매우 크다. - 리스크:
특허 소송 패소, 키트루다 SC 출시 지연,
신규 기술이전 계약 실패, 밸류에이션 버블 붕괴.
5.5 두산에너빌리티 (034020)
- 투자 논리:
글로벌 원전 르네상스의 국내 최대 수혜주이자
미래 SMR 시장의 핵심 플레이어. - 펀더멘털 리뷰:
강력한 국내외 수주 잔고,
뉴스케일파워와의 협력을 통한 SMR 로드맵등
성장 스토리는 탄탄하나,
부채 증가 등 취약한
재무구조는 상존하는 리스크다. - 기술적 분석:
다수의 기술적 지표가
긍정적 신호를 보내며
강한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 애널리스트 컨센서스:
주요 증권사들이 목표주가를
대폭 상향하는 등
압도적으로 긍정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 리스크:
프로젝트 지연, 금융 비용 상승,
재무구조 악화에 따른 유동성 리스크.
5.6 HMM (011200)
- 투자 논리:
단기 운임 변동성과 지정학적 이벤트에 연동되는
경기민감주.
장기적으로는 구조적 역풍에 직면해 있다. - 펀더멘털 리뷰:
단기 스팟 운임(SCFI)과 장기 계약 운임(CCFI)의 괴리,
관세 분쟁이 물동량에 미치는 영향,
환경 규제에 따른 장기적 대규모 투자 필요성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 기술적 분석:
주가 변동성이 크며 주요 지지선과
저항선 확인이 필요하다. - 애널리스트 컨센서스:
단기 운임 급등을 반영해
목표가를 상향하는 시각과
장기적 불확실성을 이유로
보수적 의견을 내는 시각이 혼재한다. - 리스크:
관세 협상 시한 이후 운임 급락,
유가 상승에 따른 비용 증가,
본사 이전 관련 정치적 불확실성.
5.7 이수페타시스 (007660)
- 투자 논리:
AI 인프라 구축의
직접적인 수혜를 누리는 고성장주.
핵심 부품 시장의
공급 부족 상황이 강력한 해자로 작용한다. - 펀더멘털 리뷰:
고다층 MLB 시장에서의 지배적 위치,
공급 부족에 따른 가격 결정력 확보,
견고한 글로벌 빅테크 고객 기반이 강점이다. - 기술적 분석:
견조한 주가 상승세를 보여왔으나,
최근 유상증자로 인한
변동성 확대에 유의해야 한다. - 애널리스트 컨센서스:
지속적인 실적 성장을 근거로
다수의 증권사가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고 있다. - 리스크:
글로벌 데이터센터 및 AI 투자 둔화,
경쟁 심화, 증설 관련 실행 리스크.
5.8 POSCO홀딩스 (005490)
- 투자 논리:
전통적인 철강 사업의 회복에 기반한 가치주.
장기 성장 동력인 배터리 소재 사업은
단기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펀더멘털 리뷰:
2분기 실적은 철강 부문의 선방에도 불구하고
리튬 가격 하락으로 에너지소재 부문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 기술적 분석:
주가는 일부 회복했으나
여전히 낮은 밸류에이션 수준에 머물러 있다. - 애널리스트 컨센서스:
낮은 주가순자산비율(PBR) 등
밸류에이션 매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나,
배터리 소재 부문의
단기 실적 기여도에는 신중한 입장이다. - 리스크: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철강 수요 감소,
리튬 등 원자재 가격 추가 하락, 보호무역주의 강화.
섹션 6: 시장의 맥박: 개인 투자자 동향 및 커뮤니티 동향
6.1 개인 투자자 레이더: 무엇이 뜨거운가?
다음, 네이버 등 포털의 인기 검색 및 거래 상위 종목 분석 결과,
개인 투자자들은 두산에너빌리티, 알테오젠, HMM 등
변동성이 높은 테마주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네이버와 다음의 종목토론실에서는
특정 종목에 대한 극단적인 시각이 충돌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알테오젠 게시판은
기술력에 대한 맹신과
밸류에이션 및 적자 구조에 대한 비관론이 팽팽히 맞서며
내러티브 전쟁터가 되고 있다.
한편, 디시인사이드 주식 갤러리는
실제 주식 투자 정보보다는
사회적 이슈를 다루는 공간으로 변모했으며,
진지한 투자자들은 특정 마이너 갤러리로 이동하는 등
개인 투자자 커뮤니티의 분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6.2 핀플루언서 효과
'배터리 아저씨' 가 금양, 에코프로 등
2차전지 관련주에 대한
개인 투자자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이끌었던 사례에서 보듯,
'핀플루언서(Finfluencer)'의 영향력은
여전히 시장의 주요 변수다.
매일경제TV와 같은
경제 전문 유튜브 채널의 종목 추천이나,
슈카월드, 박곰희TV 등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채널의 분석은
수많은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 아이디어나
종목 발굴 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들이 언급하는 종목에
단기적인 수급 쏠림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섹션 7: 부록
7.1 표: 주요 증권사 목표주가 변경 요약 (2025년 6-7월)
종목명 | 증권사 | 발표일 | 기존 목표가 (원) | 신규 목표가 (원) | 변경률 (%) | 핵심 사유 요약 |
NAVER | 한국투자증권 | 2025.07.07 | 260,000 | 300,000 | +15.4% | 스테이블코인 사업 가치 재평가 |
알테오젠 | 신한투자증권 | 2025.05.27 | 730,000 | 730,000 | 0.0% | 키트루다SC 관련 우려 완화, 투자의견 '매수' 유지 |
두산에너빌리티 | KB증권 | 2025.06.18 | 440,000 | 750,000 | +70.5% | 미국 원전 시장 확대 및 SMR 성장 최대 수혜 |
두산에너빌리티 | 삼성증권 | 2025.06.13 | - | 62,000 | 신규 | 대형 원전 및 SMR, 가스터빈 신규 수주 확대 기대 |
HMM | 대신증권 | 2025.07.04 | 23,000 | 26,000 | +13.0% | 단기 컨테이너 운임 급등에 따른 실적 개선 전망 |
이수페타시스 | SK증권 | 2025.05.15 | 59,000 | 63,000 | +6.8% | 하반기 ASP 상승 및 공급 부족 지속에 따른 실적 상향 |
한국전력 | UBS | 2025.06.25 | 29,200 | 43,000 | +47.3% | 대내외 불확실성 완화 및 해외 원전 수주 기대감 |
7.2 표: 주요 경제 및 기업 이벤트 캘린더
날짜 | 이벤트 | 국가/기업 | 중요성 및 관전 포인트 |
2025.07.08 | 삼성전자 2분기 잠정 실적 발표 | 삼성전자 | 시장 컨센서스(영업이익 6조원대) 충족 여부 및 HBM 관련 컨퍼런스콜 내용 |
2025.07.08/09 | 미국 상호관세 유예 시한 만료 | 미국/한국 | 협상 타결, 유예 연장, 또는 관세 부과(25%) 현실화 여부에 따라 시장 변동성 극대화 |
2025.07.08 | 엔에이치스팩26호 상장폐지 | 엔에이치스팩26호 | 스팩 투자 관련 리스크 환기 |
2025.10월 (예정) | 키트루다SC 출시 (예정) | 머크(MSD)/알테오젠 | 알테오젠의 로열티 수익 발생 시작 여부 및 규모 |
2029년 (목표) | 뉴스케일파워 SMR 준공 (목표) | 뉴스케일/두산에너빌리티 | SMR 상용화 및 두산에너빌리티의 본격적인 기자재 공급 시작 |
참고 자료
- 코스피, 소폭 오르며 3059.47 마감…코스닥 대장 알테오젠 11 ...,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70727686
- 코스피·코스닥 상승 마감…조선·방산↑ 반도체·이차전지↓ - 아시아경제,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70716025079768
- [기획] 미국 상호관세 부과 유예기간 종료 D-1… 법조계 “관세 리스크 ...,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news.koreanbar.or.kr/news/articleView.html?idxno=33836
- 씨티 '車·반도체 25% 관세 부과시 韓 GDP 0.2% 감소' - 서울경제,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sedaily.com/NewsView/2GP0O7KOJN
- 실적 부진에도 '7만전자'…삼성, HBM·엑시노스에 사활 - 한국경제TV,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m.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7040577
- SK하이닉스는 '서프라이즈, 삼성전자는 '쇼크'… 2분기 실적 발표 앞두고 달라진 눈높이,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5/07/03/HPCAFOMX2BBLBLNE3EF2VKZBJA/
- [마감시황] 코스피, 개인 '순매수'에 소폭 반등…3059선 강보합 - 뉴스핌,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707000859
- 네이버페이 증권 - 나무위키,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B%84%A4%EC%9D%B4%EB%B2%84%ED%8E%98%EC%9D%B4%20%EC%A6%9D%EA%B6%8C
- 주식 갤러리 - 나무위키,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C%A3%BC%EC%8B%9D%20%EA%B0%A4%EB%9F%AC%EB%A6%AC
- [0707개장체크] 美 증시 독립기념일로 휴장…아시아 증시 혼조 마감 | 뉴스 - 토스증권,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tossinvest.com/stocks/A032820/news?symbol-or-stock-code=A032820&contentType=news&contentParams=%7B%22id%22%3A%22infostockdaily_0000209424%22%7D
- [7월 7일] 금융시장 동향 및 전망 | KB의 생각,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kbthink.com/investment/trend/daily/250707.html
- [0707개장체크] 美 증시 독립기념일로 휴장…아시아 증시 혼조 마감 - 인베스팅닷컴,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kr.investing.com/news/stock-market-news/article-1538788
- 트럼프의 유예 조치에 따라 EU, 대미 관세 90일 연기 - Cello Square,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cello-square.com/kr/marketupdates/view-1948.do
- 트럼프 “한 달 안에 자동차·반도체 관세 발표”… 한국도 영향 불가피 - VOA 한국어,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voakorea.com/a/7982199.html
- 美 '25% 車관세' 역풍…한국 내년까지 車 31만대 생산 감소 전망 - 산경투데이,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2585
- 코스피 3059.47( 0.17%), 코스닥 778.46( 0.34%), 원·달러 환율 1367.8원( 5.5원) 마감[시황] - Daum,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v.daum.net/v/20250707153641842
- 코스피 3059.47( 0.17%), 코스닥 778.46( 0.34%), 원·달러 환율 1367.8원( 5.5원) 마감[시황] - 뉴시스,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707_0003242261
- [마감시황] 코스피, 개인 매수세에 강보합...0.17% 오른 3059.47 마감 - 글로벌이코노믹,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g-enews.com/article/Securities/2025/07/20250707155557719288320b10e_1
- 美관세 시한 코앞서 코스피 소폭 상승…코스닥도↑[마감] - Daum,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v.daum.net/v/20250707160208980
- 화장품 관련주 강세, 이유와 핵심종목은? | 한국경제,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021355a
- 화장품 관련주 주가 상승세, 이유와 핵심종목은? - 한국경제,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172307a
- 코스피, 0.17% 상승한 3059.46 마감…코스닥 0.34%↑(2보) - 뉴스1,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news1.kr/finance/general-stock/5837949
- 메모리 3등 마이크론, HBM4 12단 샘플 내놨다…2위 삼성전자 앞질러 | 한국일보,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61115250001152
- HBM4 차세대 메모리 시장의 혁신과 경쟁,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brunch.co.kr/@babylon/142
- '한발 더 앞서간다'...SK하이닉스, 2026년 HBM4E 양산 목표 - 디일렉,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7825
- 잡코리아 High-Tech | SK 하이닉스 HBM4 공급! 양산 계획 및 채용 동향,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jobkorea.co.kr/recruit/careers/articles/sk-hynix-ships-worlds-first-hbm4-samples-and-its-impact-on-recruitment-in-korea
- 삼성전자, HBM3E·1c D램 '공급 드라이브'..빅테크 고객사로 반전 노린다 | 한국정경신문,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kpenews.com/View.aspx?No=3701142
- 마이크론, 'HBM4' 샘플 공급…SK하이닉스와 경쟁 치열 - 연합뉴스,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611074400003
- 다중 MLB 공급부족에 쑥쑥 크는 이수페타시스, 증권가도 호평 - CNews,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thecommoditie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202
- 이수페타시스, 구글 이어 엔비디아·MS·인텔도 고객사로 확보 - 디일렉,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19527
- [뉴스핌 라씨로] 이수페타시스, 'AI 가속기' 수요 급증에 공장 풀가동..."MLB 4공장 조기 증설",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31117000049
- [리포트 브리핑]이수페타시스, '빅테크도 줄서는 소문난 MLB 맛집' 목표가 70000원 - 토스증권,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tossinvest.com/stocks/A007660/news?symbol-or-stock-code=A007660&contentType=news&contentParams=%7B%22id%22%3A%22newspim_20250327000101%22%7D
- IT부품/전기전자 비중확대(유지),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file.alphasquare.co.kr/media/pdfs/market-report/%EC%A0%84%EA%B8%B0%EC%A0%84%EC%9E%90AI20250526SK%EC%A6%9D%EA%B6%8C.
- [리포트 브리핑]이수페타시스, '하반기에도 ASP 상승' 목표가 63,000원 ...,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tossinvest.com/stocks/A007660/news?symbol-or-stock-code=A007660&contentType=news&contentParams=%7B%22id%22%3A%22newspim_20250515000304%22%7D
- 리스크 속 기회? 이수페타시스가 2만 원대에서 주목받는 이유,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stockfactory/kstockfactory/contents/241216152318110pr
- [이 주의 관.종]AI에 자동차까지…지속 성장할 가온칩스 - 아시아경제,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asiae.co.kr/article/2023122614111943318
- 기업분석-[가온칩스] 삼성전자 최애 국내 디자인하우스 회사!,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exhsk0426.tistory.com/93
- 알테오젠, 할로자임 소송 제기에 특허 침해 가능성 '일축' - 뉴스핌,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25000463
- 알테오젠, 경쟁사 美 할로자임과 특허 분쟁에 발목 잡히나 - 모바일한경,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plus.hankyung.com/apps/newsinside.view?aid=202411215850i&category=&sns=y
-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 “할로자임 특허 잘못됐다는 데이터 갖고 있다” - 팜이데일리,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pharm.edaily.co.kr/news/read?newsId=01302166639114584
- 할로자임 특허 분쟁 불확실성 해소 평가에…알테오젠 급등 - 한국경제,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60438496
- 알테오젠 피하주사 제형 플랫폼 미국서 특허 소송 이길 가능성, 기술 수출 확대 기대 커져,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99429
- [종목 리포트 스터디] LIG넥스원 / 알테오젠 / SK / S-Oil / 파마리서치 / 서울보증보험 / 파라다이스 - YouTube,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t03v-HwajhM
- 알테오젠 (196170),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files-scs.pstatic.net/2024/11/20/4vfGplzgPV/%EC%95%8C%ED%85%8C%EC%98%A4%EC%A0%A0_%EC%8B%A0%ED%95%9C_20241120.pdf
- [버핏 리포트]알테오젠, 목표주가 73만원 유지…키트루다SC 출시 우려 ...,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buffettlab.co.kr/news/view.php?idx=50324
- 5년 전 알테오젠이 맺은 계약 가치 알아봤다면… 지금 증권가는 바이오 공부 삼매경,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biz.chosun.com/stock/market_trend/2024/11/15/2B7XU6W34NF65OUQ7XOXYZQKX4/
- 리가켐 알테오젠의 주가가 오른 이유 | 중요한 바이오 이벤트에 맞춰 이렇게 투자하세요. (이해진 대표) - YouTube,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OuVDlMrbbTM
- 알테오젠 196170 코스닥 - 다음 금융,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m.finance.daum.net/quotes/A196170/talks/13510747
- 알테오젠 196170 코스닥 - 다음 금융,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m.finance.daum.net/quotes/A196170/talks/13506055
- 역대급 실적에도 주가 내린 알테오젠…반등 여력은[선한결의 이기업 왜이래] | 한국경제,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5141868i
- [특징주] 알테오젠, '로열티' 기대감에 10%대 강세 - 조선일보,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chosun.com/economy/money/2025/07/07/JFOTN5LDM7VT7UNIK7XRAN5ORU/
- 알테오젠 2대주주 "코스피 이전, 더 주저할 이유 없다" - 히트뉴스,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6380
- '제11차 전기본' 확정… 2038년 목표 전력수요 129.3GW - 에너지데일리,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energy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3572
- 뒤늦은 11차 전기본…결국 원전 1기 줄인채 확정 - 한국경제,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1964231
- [Zoom in]'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무엇을 담았나? - 아이가스저널,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m.igasnet.com/news/articleView.html?idxno=22114
- 두산에너빌리티, 지배구조 개편 떨치고 주가 '훨훨'···이번엔 원전 수혜 - 뉴스웨이,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newsway.co.kr/news/view?ud=2025012014281658565
- 체코 불확실성 걷힌 두산에너빌리티, 박지원 원전 사업 활로 더 넓어진다 - 비즈니스포스트,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93820
- KB증권 "두산에너빌리티, 원전 수주 증가로 실적 개선" - 연합뉴스,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321023900008
- 두산에너빌리티 뉴스케일과 SMR 협력 강화, 박지원 "안전한 에너지 제공" - 비즈니스포스트,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13447
- 미국 뉴스케일(NuScale) 원전 : 소형모듈원전(SMR) : 에너지 솔루션 신사업 : 두산에너빌리티,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doosanenerbility.com/kr/business/smr_nuscale
- 두산에너빌리티, 美 뉴스케일파워와 SMR 제작 착수 협약…사업 본격화 - 대한금속재료학회 뉴스레터 Newsletter,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newsletterkim.or.kr/newsletter/newsletter.php?sub=4&No=4031&vol=138&Location=View
- 뉴스케일, 美최초로 SMR 설계인증 획득…국내 수혜주는? - 한국경제,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5306584i
- 美 뉴스케일파워, SMR 상용화 속도… 삼성·두산 '새 기회' - 조선비즈,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5/05/30/YQBW2AYRRBEK5L7E2E24LQP73M/
- 뉴스케일파워 "올해 수주 확실…두산에너빌리티와 협력 확대 추진" - 더구루,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86940
- 두산에너빌, 추가 수주 잠재력 풍부…목표가↑-대신 - 한국경제,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1944206
- KB증권, 두산에너빌리티 목표가 70%↑…"대형·소형 원전 모두 기대" - 연합인포맥스,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60780
- 두산에너빌리티, 수주 성장세 속 재무개선 과제 직면 - 잡포스트(JOBPOST),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job-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1813
- [스테이블코인 시동] [업비트] 두나무-네이버페이, 스테이블코인 결제 동맹 가시화 - 딜사이트,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dealsite.co.kr/articles/143991
- “스테이블코인부터 결제 단말기까지”…'10주년' 네이버페이, 디지털 금융 허브로 도약,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economist.co.kr/article/view/ecn202506260056
- [단독] 네이버페이, 원화 스테이블코인 상표권 출원 - 전자신문,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etnews.com/20250627000139
- 한투증권, 네이버 목표가↑…"스테이블코인 핵심 플레이어 전망" - 연합뉴스,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707017500008
- [블록체인핫이슈] 업비트·네이버 '스테이블코인 동맹'...한은의 플랜B는?,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75079
- '은행 주도' 스테이블코인에 힘 실린다, 비금융사 옥죄는 '만장일치제' 부상 - 비즈니스포스트,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402300
- 카카오페이 폭등 배아프지? 스테이블코인 '진짜 수혜주' - 중앙일보,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9496
- 네이버페이, 아실 300억대 M&A… "부동산 정보 독점 지위 확보" By MoneyS - 인베스팅닷컴,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kr.investing.com/news/stock-market-news/article-1528925
- 실리콘밸리 간 이해진…네이버 벤처스 만든다 - 전자신문,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etnews.com/20250608000007
- 네카오는 어떤 기업 M&A할까…자금 부족·7년 미만 스타트업 - 한국경제,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3188315g
- HMM 011200 코스피 - 다음 금융 - Daum,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m.finance.daum.net/quotes/A011200/news/stock/20250608155520006
- 공급 늘어도 뛰는 태평양 운임… HMM 실적 전망치 상향 - 조선비즈,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5/06/05/5KQCD5NQD5FS5EKSB5MWKO6OWU/
- HMM, 3분기 영업이익 1.2조원 예상...SCFI와 다르게 기대이상으로 증가할 전망 - 쉬핑뉴스넷,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shippingnewsnet.com/news/articleView.html?idxno=61645
- HMM, 해운 운임 반등에 주가도 21% '쑥'…장기 전망은 불안정 - 연합인포맥스,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6758
- EU·IMO 해운산업 탄소배출 규제 강화와 글로벌 해운업 영향 분석 - Goover,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seo.goover.ai/report/202505/go-public-report-ko-1af0cad0-0a1e-4e9e-a25d-f4fc37670dd0-0-0.html
- HMM, '젊은 선박'으로 탄소 규제 대응 '박차' - 중앙이코노미뉴스,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joongang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19768
- 해상 환경규제 강화되는데...10년 준비한 HMM '이상무' - 뉴스핌,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0405000746
- IMO 규제에 친환경 선박 교체 수요 불붙는다 - 서울경제,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sedaily.com/NewsView/2GRIQ1BRL2
- 삼성·LG전자 2분기 성적표…반도체 부진·美 관세 '우울' 전망 - 뉴스1,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news1.kr/industry/general-industry/5835917
- 삼성전자 반도체 성과급 급감... 메모리사업부 25%로 지난해 대비 3분의 1 수준 - 글로벌에픽,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globalepic.co.kr/view.php?ud=20250704111329656348439a4874_29
- 2025.06.25.(수) 증권사리포트 "삼성전자, 하반기 불확실성 완화 전망",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nomadand/nomad/contents/250625115534178eq
- 모건스탠리發 반도체 비관론 '반쪽 짜리'인 까닭 - 오피니언뉴스,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opini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332
- 네이버 주가, 지금이 바닥일까? 전망 및 분석,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stockfactory/kstockfactory/contents/241028134023784uf
- Naver Corp 주식 기술분석 (035420) - 인베스팅닷컴,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kr.investing.com/equities/nhn-corp-technical
- [특징주] NAVER, 스테이블코인 핵심 플레이어 자리매김 가능성 '상승' - 전국매일신문,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jeonma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63570
- [Q&AI] 네이버 주가 15% 폭등…왜? - 지디넷코리아,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zdnet.co.kr/view/?no=20250618204508
- AI주식상승확률분석 : 알테오젠(196170) 주가 전망과 상승확률 분석 - 인베스팅닷컴,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kr.investing.com/analysis/article-200453015
- AI가 분석해주는 알테오젠 상승확률은? -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emoneyai/aisignal/contents/250704102629055ow
- 알테오젠-컨센서스 | 한국경제,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markets.hankyung.com/stock/196170/consensus
- AI가 분석해주는 두산에너빌리티 상승확률은? -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emoneyai/aisignal/contents/250616094748724lx
- 두산에너빌리티보통주 테크니컬 어낼리시스 (KRX): 034020 - 트레이딩뷰,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kr.tradingview.com/symbols/KRX-034020/technicals/
- [리포트 브리핑]두산에너빌리티, '두 기 받고 두 기 더' 목표가 62,000원 - 삼성증권 - 뉴스핌,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613000062
- 두산에너빌리티 (034020) 주가전망, 목표주가 - 25.06.18 - KB의 생각,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kbthink.com/securities-view.html?docId=20250616125504613K
- HMM Co Ltd 주식 기술분석 (011200) - 인베스팅닷컴,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kr.investing.com/equities/hyundai-merchant-marine-technical
- HMM Co Ltd 오늘의 주가 | 011200 실시간 티커 - Investing.com - 인베스팅닷컴,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kr.investing.com/equities/hyundai-merchant-marine
- 컨테이너 운임 급등에 HMM 실적 기대감↑…대신증권, 목표주가 상향 ...,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www.haes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8342
- 대신證 “단기 컨테이너 운임 폭등에 HMM 실적도 '쑥'… 목표가 13% 상향” - 조선일보,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chosun.com/economy/money/2025/06/04/VRXYO5PMZYGERJ6EHOZPYPBCSE/
- HMM, 주가보다 낮은 목표가...사실상 매도 의견/[+PICK]/한국경제TV뉴스 - YouTube,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YsGEKsGYedw
- 이수페타시스-컨센서스 | 한국경제,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markets.hankyung.com/stock/007660/consensus
- [Hot 종목 체크] 이수페타시스, AI가속기향 MLB 고객사 확장으로 매출 증가할까,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www.dailyinvest.kr/news/articleView.html?idxno=61263
- POSCO홀딩스: 긍정적인 산업 동향과 실적 개선 기대감 속의 투자 전략 - Goover,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seo.goover.ai/report/202506/go-public-report-ko-432c82d9-5f02-42a3-8e10-47ac5f7975e3-0-0.html
- 포스코홀딩스, 2분기 매출 17.3兆 전망…하반기 열연강판 AD 예비판정 '변수' - 페로타임즈,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ferro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41826
- POSCO홀딩스, 불확실한 시장 속에서의 가능성과 투자 전략 - Goover,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seo.goover.ai/report/202506/go-public-report-ko-286994e3-e41b-4a57-a731-906258ba8aff-0-0.html
- POSCO홀딩스, 2분기 실적 기대 및 중국 감산 영향 분석 - 중앙이코노미뉴스,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joongang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31644
- 다음 금융,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finance.daum.net/
- 가장 인기있는 한국 주식 - Investing.com,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kr.investing.com/equities/south-korea/most-active-stocks
- 인기검색 종목 - 매일경제 마켓,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stock.mk.co.kr/domestic/popular?type=kospi
- 주식 갤러리/역사 - 나무위키,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C%A3%BC%EC%8B%9D%20%EA%B0%A4%EB%9F%AC%EB%A6%AC/%EC%97%AD%EC%82%AC
- 핀플루언서의 두 얼굴…개미들의 영웅이냐, 작전세력이냐 - 한국경제,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52007331
- 매일경제TV - YouTube,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MKeconomy_TV
- 초보 투자자에게 추천 유튜버,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brunch.co.kr/@wise-investor/28
- [UBS] 한국전력 (015760.KS) -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 NAVER,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owho2h/ucnet/contents/250629001543014rd
인포스탁, 7월 8, 2025에 액세스, https://infostock.co.kr/
'시사분석 르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신미약'이라더니... 국회를 조롱한 손효숙 대표의 거짓말 패턴 분석 (17) | 2025.07.13 |
---|---|
권력의 사유화, 대한민국을 뒤흔든 3대 특검 수사 현황 심층 분석 (12) | 2025.07.10 |
2025 상법 개정안 완벽 가이드: 무엇이, 왜, 어떻게 바뀌나? (22) | 2025.07.07 |
보수의 종말, 극우의 시작: 근본없는 보수는 사라져야 한다. (4) | 2025.07.01 |
사이버 렉카 추적! 故이선균, 故잼미를 통해 본 렉카의 민낯 (42) | 2025.06.21 |